최종 편집일 : 2024.06.02 (일)

  • 구름많음속초18.8℃
  • 구름조금23.2℃
  • 맑음철원22.1℃
  • 맑음동두천23.5℃
  • 맑음파주24.4℃
  • 구름많음대관령13.7℃
  • 구름조금춘천23.4℃
  • 맑음백령도22.5℃
  • 흐림북강릉17.1℃
  • 흐림강릉18.1℃
  • 구름많음동해18.8℃
  • 맑음서울23.8℃
  • 맑음인천21.9℃
  • 구름많음원주22.3℃
  • 맑음울릉도18.5℃
  • 맑음수원24.1℃
  • 구름많음영월20.9℃
  • 구름조금충주23.2℃
  • 맑음서산23.7℃
  • 구름많음울진18.9℃
  • 맑음청주24.7℃
  • 맑음대전24.4℃
  • 구름조금추풍령22.9℃
  • 구름조금안동22.7℃
  • 구름조금상주25.1℃
  • 구름많음포항19.3℃
  • 맑음군산21.2℃
  • 맑음대구24.9℃
  • 구름조금전주24.3℃
  • 구름많음울산20.8℃
  • 구름많음창원25.3℃
  • 구름많음광주24.9℃
  • 구름많음부산22.3℃
  • 구름많음통영23.8℃
  • 구름많음목포22.6℃
  • 구름많음여수23.1℃
  • 구름많음흑산도22.7℃
  • 구름많음완도25.5℃
  • 구름많음고창25.2℃
  • 구름많음순천23.5℃
  • 맑음홍성(예)24.2℃
  • 맑음23.4℃
  • 구름많음제주22.6℃
  • 구름많음고산20.1℃
  • 구름많음성산24.4℃
  • 구름많음서귀포25.9℃
  • 구름많음진주25.7℃
  • 맑음강화23.0℃
  • 맑음양평24.1℃
  • 맑음이천24.5℃
  • 구름많음인제20.3℃
  • 구름조금홍천23.3℃
  • 흐림태백16.0℃
  • 흐림정선군21.6℃
  • 구름많음제천20.9℃
  • 맑음보은23.9℃
  • 맑음천안23.6℃
  • 맑음보령21.3℃
  • 맑음부여24.3℃
  • 맑음금산24.4℃
  • 맑음23.7℃
  • 구름조금부안23.4℃
  • 구름조금임실23.7℃
  • 구름많음정읍25.7℃
  • 구름많음남원24.9℃
  • 구름조금장수22.1℃
  • 구름많음고창군24.6℃
  • 구름많음영광군24.0℃
  • 구름많음김해시26.0℃
  • 구름많음순창군24.6℃
  • 구름많음북창원24.6℃
  • 구름많음양산시24.8℃
  • 구름많음보성군25.0℃
  • 구름조금강진군25.0℃
  • 구름많음장흥25.3℃
  • 구름많음해남24.9℃
  • 구름많음고흥25.1℃
  • 구름많음의령군27.0℃
  • 구름많음함양군25.6℃
  • 구름많음광양시25.0℃
  • 구름많음진도군23.1℃
  • 구름많음봉화20.0℃
  • 구름많음영주21.8℃
  • 구름조금문경22.7℃
  • 구름조금청송군22.4℃
  • 구름많음영덕18.5℃
  • 구름많음의성24.3℃
  • 구름조금구미26.0℃
  • 구름조금영천25.8℃
  • 구름많음경주시22.9℃
  • 구름조금거창24.5℃
  • 구름많음합천26.2℃
  • 구름많음밀양25.6℃
  • 구름조금산청25.6℃
  • 구름많음거제23.9℃
  • 구름많음남해24.0℃
  • 구름많음25.2℃
宗家의 독립운동을 다시보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宗家의 독립운동을 다시보다

3.1만세운동 태극기·8.15광복 태극기 한 자리에
제12회 종가포럼 원본 최초 공개

宗家의 독립운동을 다시보다

3.1만세운동 태극기·8.15광복 태극기 한 자리에
제12회 종가포럼 원본 최초 공개
 

3.1만세운동 태극기.jpg

 
  경북도와 한국국학진흥원은 24일 오후 2시 경북도청 동락관에서 '근현대를 이어온 宗家의 전통(전체주제)'이라는 주제로 종가포럼을 개최한다.
  그간 종가포럼은 나눔과 포용을 주제로 종가의 전통문화를 알리는데 초점을 맞춰왔다.
  올해는 3.1운동&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해 일제강점기와 해방의 격동기를 거치며 국권 회복과 가문의 재건을 위해 힘쓴 종가의 사회적 헌신과 가치를 돌아볼 예정이다.
  이를 위해 종가포럼의 주요 행사로 독립운동에 헌신한 종가(宗家)와 그 일문(一門)의 자료 50여점을 전시한다.
○ 보종(保宗)에 앞서 보국(保國)에 힘쓴 종가
  을사늑약과 한일강제병합을 묵인하고 일제의 비호 속에서 부를 지속한 중앙의 고위관료들과 경학원(經學院)에 속해 황도유학을 받아들인 유림들이 목소리를 높일 때에도 지조와 절의를 지키며 선조의 뜻을 이어간 명문종가와 후손들이 있다.
  이들은 가문을 보전하는 일을 일차적인 과업으로 여겼으나, 일제의 국권 침탈이 가시화되자 보종(保宗)의 책임을 뒤로 하고, 가산(家産)을 털어 항일독립운동에 앞장섰다.
  1894년 갑오의병을 시작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과 만주 독립군 기지 건설 및 의열단 활동에 이르기까지, 종가와 그 일문의 후손들은 선조의 신위가 모셔져 있는 종가를 돌볼 틈 없이 50여년의 세월을 나라를 위해 헌신하였다. 올해 종가포럼에서는 '독립운동에 앞장 선 명가(名家)의 후예들(전시주제)'이라는 주제로 한국국학진흥원과 경북독립운동기념관, 그리고 종가에 소장돼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자료들을 선보일 계획이다.
○ 3.1만세운동과 8.15광복 기념에 사용된 것으로 전해지는 태극기 2점 원본 최초 공개
  주요 유물로 3.1만세운동과 8.15해방을 기념하기 위해 경북지역에서 제작된 것으로 전해지는 태극기 원본 2점이 처음 공개된다. 3.1만세운동에 쓰인 태극기는 오회당(五懷堂) 남상룡(南相龍, 1887~1955)이 1919년 안동군 임동면 챗거리[鞭巷]에서 만세시위에 사용했다고 전해지는 태극기이다(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소장).
  임동면 3.1만세운동은 1919년 3월 1일 고종의 인산(因山:장례)에 참여했던 류동시(柳東蓍, 1886~1961)가 계획하고 류연성, 류동태, 이균호 등이 주도해 3월 21일 임동면 편항시장에서 열린 시위이다.
  이때 무실의 기양서당과 협동학교에서 태극기를 제작하고 독립선언서를 작성했다고 전한다.
  임동면 만세시위를 주도한 류동시는 정재(定齋) 류치명(柳致明, 1777~1861)의 증손자이며, 류연성(柳淵成, 1857~1919)은 류치명의 차손이다.
  다른 하나는 광산김씨 탁청정공파(濯淸亭公派) 문중에서 8.15해방을 기념해 제작한 태극기로, 2018년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됐다.
  탁청정(濯淸亭)은 수운잡방(需雲雜方)으로 유명한 김유(金綏, 1491~1555)의 호이다. 탁청정 종가를 비롯한 오천의 광산김씨 문중에서는 2015년 8월 15일 광복 70주년을 맞아 광복 때 행하였던 만세운동을 재연하는 행사를 개최하기도 했다.
  탁청정 종가의 태극기는 비단에 직접 그렸으며, 4괘 중 감괘와 이괘의 위치가 바뀌어 있다. 최근 발견된 진관사의 태극기도 이러한 모양이다.
  1882년(고종 19) 태극기를 국기로 제정한 후에 국기의 양식을 확정하지 않았고, 1942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다양한 태극기를 하나로 통일하기 위해 '국기통일양식(國旗統一樣式)'을 제정·공포했지만, 일반 국민들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해방 이후 1949년 1월 국기시정위원회(國旗是正委員會)를 구성하고 오늘날의 '국기제작법'을 확정·발표하기 전까지 다양한 양식의 태극기가 제작됐다.
  이번 종가포럼의 전시에 공개되는 태극기는 지역과 문중을 기반으로 항일독립운동이 전개된 경북지역의 특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자료이다.
  이밖에도 경술국치 후 자결순국한 안동김씨 양소당 김택진(金澤鎭, 1874~1910)의 퉁소와 의성김씨 학봉종가 종손인 김용환(金龍煥, 1887~1946)의 근대식라디오, 그리고 의성김씨 동강종가 종손인 심산 김창숙(金昌淑, 1879~1962)의 친필 병풍이 처음 공개된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